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시술 전 혈액 검사나 복용 약물 확인이 필요한 경우

by 호이_1 2025. 8. 19.

피부과 시술은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, 환자의 기저질환, 복용 약물, 체내 상태에 따라 부작용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 특히 40~50대는 만성질환 보유율이 높고, 항응고제·호르몬제 등 약물 복용이 흔해 시술 전 정확한 병력 확인과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. 다음은 시술 전 점검이 필수적인 주요 항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
1. 항응고제·항혈전제 복용 시 주의해야 할 시술

아스피린, 와파린, 클로피도그렐 등 항응고제는 멍, 출혈, 내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주사형·레이저 시술 전 복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  • 보톡스, 필러, 실리프팅 등 침습적 시술 시 멍 발생률 상승
  • 프락셔널 레이저·MTS 등 출혈성 자극 유발 시술에 영향
  • 시술 3~5일 전 약물 중단 여부는 담당 전문의와 사전 협의
약물명 위험성 시술 전 조치
아스피린 멍, 출혈 증가 시술 전 5일 중단 권장
와파린 출혈 조절 어려움 의사 협의 후 INR 수치 확인
클로피도그렐 시술 중 혈류 조절 곤란 내과 진료 후 결정

2. 호르몬제·면역억제제 복용자의 주의사항

피임약, 갑상선제, 스테로이드, 자가면역질환 약물 복용자는 색소 침착, 염증 과민반응, 회복 지연 가능성이 높아 피부 시술 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합니다.

  • 피임약 복용자는 기미·색소 재발 위험이 높아 레이저 선택주의
  • 자가면역질환 치료 중인 경우 리쥬란, 엑소좀 등 재생 시술 제한
  • 스테로이드 복용자는 상처 회복 지연 및 감염 위험 증가
복용 약물 영향 부작용 권장 시술 대응
피임약 기미 재발, 색소 증가 레이저 강도 조절, 자외선 차단 병행
스테로이드 회복 지연, 감염 위험 재생시술 시 피부 반응 모니터링
면역억제제 염증 후 색소 증가 비침습 장비 시술 위주 선택

3. 혈액 검사로 점검해야 하는 주요 항목

특정 시술 전에는 간 기능, 혈소판 수치, 염증 반응 등 혈액 상태를 확인해야 안전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  • 간 기능(AST/ALT): 고용량 비타민·PDRN·필러 대사 확인용
  • 혈소판 수: 자가혈 PRP 시술 전 반드시 확인
  • 염증 수치(CRP): 감염성 질환 여부 점검
  • 빈혈/면역 수치: 회복 속도 예측 및 약물 상호작용 검토
검사 항목 관련 시술 이상 수치 시 대응
AST/ALT 주사제, 엑소좀 간 기능 저하 시 용량 조절
혈소판 PRP (자가혈 시술) 10만 이하 시 시술 금지
CRP 레이저, 필러 감염 의심 시 연기
백혈구 수 필러, 재생주사 면역저하 시 주의

4. 복용 약물 자가 점검 체크리스트

시술 전 상담 시 의사에게 정확한 복용약 리스트와 질환 병력을 알려야 합니다. 다음 체크리스트는 시술 전 자가 점검을 위한 가이드입니다.

  • 항응고제 또는 심혈관약 복용 여부
  • 면역질환, 갑상선질환 치료 여부
  • 피임약, 호르몬제 복용 중인지 여부
  • 한약·건강기능식품 중 출혈 유발 성분 포함 여부 (은행잎, 오메가 3 등)
점검 항목 시술 영향 권장 조치
항응고제 복용 출혈, 멍 증가 내과 협의 및 중단 조정
호르몬제 복용 색소 침착 유발 기미 치료 시 레이저 강도 조절
자가면역질환 약 면역 반응 이상 재생 성분 시술 회피
건강식품 중단 필요 여부 오메가3, 비타민E 등 시술 3일 전 중단 권장

결론

피부과 시술은 비교적 안전하지만,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, 약물 복용 내역, 면역 반응에 따라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주사제나 침습적 시술은 혈액 응고, 간 대사, 감염 여부 등 사전 점검이 중요합니다.

  • 항응고제·호르몬제·면역억제제 복용자는 반드시 사전 고지
  • 자가혈(PRP), 고용량 비타민 시술은 혈액 검사 선행 필요
  • 감기, 염증, 감염 등은 시술 연기 고려
  • 사소한 건강보조제도 출혈성 성분 포함 여부 확인 필수

안전한 시술을 위해서는 시술자와 충분히 상담하고, 필요한 경우 내과 협진 또는 혈액 검사를 통해 사전에 이상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